명목소득은 소득금액 그 자체를 의미하며, 실질소득은 물가 변동을 고려한 소득을 의미합니다.
명목소득과 실질소득 차이점
명목소득은 통장에 찍히는 금액 그대로의 소득금액을 의미합니다. 만약 한달에 300만월을 번다고 하면 명목소득은 300만원인 것이지요. 그런데 이 소득을 단순 액수가 아닌 가치면에서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소득이 그대로인데 물가가 오르면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이 줄어드니 같은 300만원이라도 경제상황에 따라 그 가치가 달라지는 셈입니다. 이렇게 명목소득에서 물가를 고려한 값이 실질 소득입니다.
실질소득 구하는 법
그렇다면 실질소득을 계산해볼까요? 위에서 실질소득은 명목소득에서 물가를 고려한 값이라고 설명드렸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명목소득의 값에 소득을 받는 당시의 물가 상황을 반영하면 실질 소득을 계산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0년 11월을 기준으로 월 300만원을 벌었던 사람이 다음 해에 급여가 올라 월 350만원을 벌게 되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사람의 2021년 11월 명목소득은 작년보다 50만원이 오른 350만원입니다. 그렇다면 실질 소득도 동일하게 올랐을까요? 실질소득을 계산하는 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실질소득 = (명목소득 / 소비자물가지수) x 100
실질소득을 구하기 위해서는 명목소득 350만원과 2021년 11월 소비자 물가지수 103.87을 각각 위식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됩니다. 따라서 명목소득 350만원을 소비자물가지수 103.87로 나누어지구 100을 곱해주면, 2021년 11월의 실질소득은 약 337만원이 됩니다. 명목상으로는 월급이 일 년사이 50만원 증가하였지만, 물가를 고려한다면 실질적으로는 약 37만원이 증액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5년 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란 가구가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구입하는 상품가격과 서비스 요금의 변동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작성하는 지수입니다. 통계청에서 매월 전국 40개 도시의 소매점포 및 서비스 업체와 전월세 가구를 대상으로 일상생활에 필요한 상품과 서비스 458개 대표품목의 가격변동을 측정합니다. 현재 소비자 물가 지수의 기준연도는 2020년으로 2020년 소비자물가지수(100)을 기준시점으로 하여 기간간 가격변동을 측정합니다.
2017 (97.65), 2018 (99.09), 2019(99.47), 2020(100), 2021.11(103.87)
'Stock Korea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계좌가 살살 녹고 있어요 (6) | 2022.03.13 |
---|---|
담보인정비율(LTV), LTV 계산법 (0) | 2022.02.15 |
핀테크란? Fintech란 무엇일까? (0) | 2022.02.13 |
슬기로운 투자 생활, 그리고 미국 주식 (0) | 2022.02.05 |
주식 투자기록 22년 1주차 (0) | 2022.0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