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 반등하는 것 같던, 주식 시장이 장기 경기침체가 우려되며, 또 급락하였습니다. 연준에서는 금리 자이언트 스텝을 고수 하고 있어, 투자가 매일 어렵네요. 오늘은 최근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는 플래그스테이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은 경기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 상승이 지속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입니다. 경제 불황기에 물가가 계속해서 상승하는 시장 상황을 의미합니다. 전통적인 경제학적 관점에 보면 실업률과 물가 상승은 트레이드 오프(역의) 관계로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활성화되면 기업의 수익이 늘어나기 때문에 이는 곧 고용 확대와 생산성 향상을 위한 투자로 이어져 가계의 실업률은 감소하게 됩니다. 일자리가 늘어나게 되면, 가계의 소득은 증가하게 되고, 시장에서 더 많은 재화를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가계의 소비 여력이 증가하면 시장에서 기업의 공급에 비해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하니 자연스럽게 물가가 상승하는 시장 흐름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시장 경제의 원리를 보면 실업률과 물가는 반대 방향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1960년대 영국에서는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증가가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이전까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던 시장경제 논리가 맞지 않게 된 것이지요. 1965년 영국 보수당의 정치가 이언 맥클레오드(Iain Macleod)는 하원 연설에 서 영국이 인플레이션 뿐만 아니라 경기침체로 인한 최악의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용어를 처음 언급하였습니다. 이후 영국 뿐만 아 니라 다양한 국가의 경제 환경에서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가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 이나타날때 이 단어를사용합니다.
기업의 생산성을 감소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인하여 공급에 차질이 생기는 공급 쇼크 는 스태그플레이션의 주요한 발생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여기서 기업의 생산성을 감소하도록 만드는 요인에는 노동력 감소, 원자재 공급 부족 등이 해당합니다. 대표적으로 1970년대 중동 국가가 수출하는 석유 생산량에 제동을 걸면서 공급량을 인위적으 로 제한하였던 사례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석유를 원재료로 하는 재화 의 생산에 차질이 빚어졌고, 결과적으로 재화 가격은 상승하였으나 생산에 들어가는 원재료의 비용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기업에서 고용이 감소하였고, 실업증가와 경제 성장률 둔화로 인한 경제적 충격이 발생하였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또 다른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은 효과적이지 못한 통화 및 재정 정책입니다. 물가 상승과 실업률의 관계를 생각해보면 둘 중 한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은 다른 하나의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어 현실적으로 물가상승과 실업률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정책을 시행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스태그플레이 션이 발생하는 이유와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많은 전문가들이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하고 나서 해당 사례를 분석하면서 그 원 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럼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일반 소비자들의 생활은 어떻게 될까요? 가계에 미 치는 스태그플레이션의 영향을 생각해보면 경기가 침체된 시기에 실업률은 높아질 것이고, 가계는 그만큼 소득이 감소하기 때문에 소비를 할 수 있는 여력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런데 물가는 계속해서 상승하니 줄어든 소득으로 살 수 있는 재화의 양이 적어질 것입니다. 이렇게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면 가계는 일자리를 잃고 소 비 여력은 줄어드는 이중고를 겪을 수 있습니다.
빨리 금리가 안정되고, 물가도 안정되어서, 다시 보통의 삶으로 돌아 갔으면 좋겠습니다.
코로나가 너무 오래가네요. 정상적인 삶이 어떤것인지 생각도 잘 안나는 것 같아요.
'일상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자산 챙기기 (0) | 2022.09.28 |
---|---|
코스트코 호두피칸파이 핵꿀맛!! (0) | 2022.09.27 |
가벼운 보조배터리 삼성 배터리팩 5100mAh EB-P950 (0) | 2022.09.25 |
스포티파이 무료이용 4개월 (0) | 2022.09.24 |
키크론 K14 Retro 레트로 알루미늄 핫스왑 적축 (0) | 2022.09.24 |
댓글